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7

마곡지구 시가지 산책 @ 요즘 핫플 [여행..돼지] 2025.4.15 점심식사 후 어제까지 몇일간 비바람과 강풍의 추운날씨로몸살이 날 지경이었지만오늘 점심때부터 산책을 아니할수 없을 정도로쾌청한 봄날씨로 변신했다. 자주 돌던 식물원보다시가지를 걷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잘 정돈된 시가지의 약 40분간 산책이 참 좋았다 서울식물원 왼쪽 마곡동로 랜드마크 코오롱타워 식물원 옆 LG제국같은 사이언스파크 LG사이언스파크 도대체 건물이 몇개나 될까요? LG사이언스파크 소방송수구 수량도 몇개인가? 대박^^ 마곡 연구단지가 많아 2-30대 대부분인 젊은 도시라 따릉이 자전거도 차고 넘친다 건물 조형물#1 : 생각하는 사람 인듯~ 건물 조형물#2: 철탑? 몇일간 그 비바람속에서 아직 많이 남아있거나, 아님 거의 떨러져가는 벚꽃 .. 2025. 4. 15.
여행자의 눈으로 보는 도시지리학 탐구 1. 여행지에서 마주친 도시의 얼굴: 도시지리학이란?여행을 하다 보면 도시마다 풍경이 참 다르다는 걸 느끼죠. 어떤 도시는 하늘을 찌를 듯한 마천루가 늘어서 있고, 또 어떤 도시는 골목마다 예술 벽화가 가득하거나, 사람들의 삶이 그대로 느껴지는 시장이 중심이기도 해요.그런데 이런 도시의 풍경은 단순히 멋있고 예쁜 걸 넘어서, 도시가 어떻게 생겨났고 어떻게 살아 움직이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단서예요. 이걸 공부하는 학문이 바로 도시지리학이에요.도시지리학은 도시가 왜 그 자리에 생겼는지, 도시 안에서 사람들과 공간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또 도시들이 서로 어떤 관계를 맺는지를 살펴보는 학문이에요. 다시 말해, 도시라는 '무대' 위에서 벌어지는 인간의 삶을 공간적으로 해석하는 거죠. 여행자 입장에서는 이걸 알면.. 2025. 4. 15.
여행자의 눈으로 보는 관광지리학 탐구 1. 여행자의 시선에서 관광지리학이란?관광지리학은 한마디로 ‘관광과 공간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이에요. 여행자들이 어떤 장소를 왜 선택하는지, 관광객이 몰리면 그 지역에는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 관광이 지역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지리학적으로 바라보는 거죠.쉽게 말해, "왜 제주도는 관광지로 인기가 많고, 왜 어떤 마을은 알려지지 않았을까?" 같은 질문이 관광지리학의 출발점이에요.이 학문은 관광객의 이동 경로, 관광지의 위치와 분포, 자연·문화자원의 활용, 지역 주민과의 상호작용 등을 통해 공간 속에서 일어나는 관광의 흐름을 읽어내요. 우리 여행자들이 ‘어디를 가야 재밌을까?’라고 고민할 때, 사실 무의식 중에 관광지리학적인 사고를 하고 있는 셈이에요.2. 왜 거기가 관광지일까? 관광지의 조건여행.. 2025. 4. 15.
여행자의 눈으로 보는 문화지리학 탐구 1. 문화지리학이란 무엇인가: 공간 속에 담긴 문화의 이야기문화지리학은 사람들이 살아가는 공간 속에 깃든 문화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학문이에요. 단순히 '어디에 뭐가 있다'가 아니라, '왜 그곳은 그런 모습이고, 사람들은 왜 그렇게 살아가는가?'를 묻는 지리학이죠.예를 들어볼게요. 서울의 한옥마을과 뉴욕의 브루클린, 인도의 바라나시, 프랑스의 남부 마을이 다 다르게 생긴 건 단순한 운이 아니에요. 그 지역의 역사, 종교, 전통, 기후, 생활 방식 등이 공간에 녹아들면서 그 지역만의 문화경관을 만들어낸 거예요.문화지리학은 이렇게 공간을 사람의 눈과 문화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학문이에요. 그래서 건축물, 거리, 음식, 사투리, 옷차림까지 모두 지리학적 관찰 대상이 되죠.2. 문화와 공간은 서로를 어떻게 바꿀까?.. 2025. 4. 15.
여행이면 돼지의 토양학 탐구 1. 땅속에 숨겨진 생명의 과학 우리가 매일 걷는 땅, 씨를 심고 작물을 수확하는 밭, 나무가 자라는 숲 모두는 토양 위에 존재한다. 그러나 토양은 단순히 지표면을 덮고 있는 흙에 그치지 않는다. 수많은 유기물과 무기물이 공존하며, 미생물과 작은 동물들이 살아가는 복합적 생태계이며, 지구 생명 유지의 핵심 요소이다. 이러한 토양을 대상으로 구조, 기능, 형성과 변화 과정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 바로 **토양학(Soil Science)**이다. 인간은 오래전부터 농업을 통해 토양의 가치를 인식해 왔지만, 현대에 들어서는 환경 문제, 식량 안보, 기후 변화 등의 이슈와 맞물리며 토양학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 글에서는 토양학의 정의와 역사적 배경을 시작으로, 토양의 구성 요소와 형성 과정, 그.. 2025. 4. 15.
여행이면 돼지의 해양학 탐구 1. 미지의 세계, 바다를 탐구하는 과학 지구의 약 71%는 바다로 뒤덮여 있다. 이 광대한 해양은 지구 생명체의 발원지이자, 기후를 조절하고 생태계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넓은 면적과 깊이, 변화무쌍한 환경 탓에 인간은 여전히 바다의 많은 부분을 미지의 영역으로 남겨두고 있다. 이러한 바다를 과학적으로 탐구하고 이해하는 학문이 바로 **해양학(Oceanography)**이다. 해양학은 단순히 바다를 관찰하는 데 그치지 않고, 해수의 물리적 성질, 해류, 파도, 해양 생물, 해저 지형, 해양 자원, 기후 변화와의 관계 등 광범위한 주제를 포괄하는 종합 과학이다. 바다를 이해하는 일은 인류의 지속 가능한 미래와도 직결되며, 해양학은 과학, 경제, 환경을 넘나드는 핵심 분야로 자리.. 2025. 4. 15.
여행이면 돼지의 해양지리학 탐구 1. 바다와 인간, 공간을 매개로 잇는 해양지리학 지구는 ‘푸른 행성’이라 불릴 만큼 해양이 넓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전체 지표의 약 71%가 바다로 덮여 있으며, 인간 문명의 발전과 생존 또한 해양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왔다. 과거의 항해와 무역, 현대의 해양자원 개발과 기후 변화 대응까지, 해양은 다양한 방식으로 인간 활동의 공간이자 무대가 되어왔다. 이처럼 해양이라는 거대한 공간을 인간 활동, 자원 분포, 정치적 경계, 지형 및 자연 현상과 관련지어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 바로 **해양지리학(Marine Geography)**이다. 해양지리학은 지리학의 한 분야로서 바다를 중심으로 자연과 인간, 공간의 상호작용을 탐구하는 학문이다. 일반적인 지리학이 육지 위의 공간을 중심으로 한다면, 해양지.. 2025. 4. 15.
여행이면 돼지의 교통지리학 탐구 1. 교통지리학의 개념과 학문적 의의교통지리학은 인간의 이동과 물류의 흐름을 공간적으로 분석하는 지리학의 한 분야이다. 교통은 사회와 경제의 기본적인 작동 메커니즘 중 하나이며, 사람, 상품, 정보의 흐름을 가능하게 한다. 교통지리학은 이러한 이동이 발생하는 공간적 구조, 네트워크, 노드(node), 흐름(flow), 경로(route) 등의 개념을 중심으로 교통 현상을 해석한다. 다시 말해, '어디서 어디로, 어떻게 이동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지리적 시각으로 접근한다.교통은 단순한 수단이 아니라, 도시화, 산업화, 지역 개발, 국가 간 교류 등 사회 전반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다. 따라서 교통지리학은 공간 구조의 변화를 이해하고,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교통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이론적 기반을 .. 2025. 4. 14.
여행이면 돼지의 관광지리학 탐구 1. 관광지리학의 정의와 중요성 관광지리학은 관광 활동이 공간상에서 어떻게 발생하고, 전개되며,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는 지리학의 한 분야이다. 즉, 사람들이 특정 장소를 관광 목적으로 방문하는 과정과 그로 인한 지리적·사회적·경제적 변화에 초점을 맞춘다. 단순히 관광지의 분포나 형태를 분석하는 데 그치지 않고, 관광객의 이동 경로, 관광지의 발전 과정, 지역 주민과의 상호작용, 환경과의 관계 등 다양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탐구한다.현대 사회에서 관광은 단순한 여가 활동을 넘어 하나의 산업이자 문화, 그리고 글로벌 네트워크의 일부로서 기능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관광지리학은 단지 관광산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도구가 아니라, 관광이 가져오는 지역적 변화와 지속가능성, 공간적 형평성 등을 고려한 통.. 2025. 4.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