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AdSense 수익을 제대로 받기 위해서는 ads.txt 파일을 루트 도메인에 정확히 설정해야 합니다. 하지만 티스토리는 자체적으로 ads.txt를 설정할 수 없기 때문에 개인 도메인을 구매하고 Cloudflare를 활용해 직접 연결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 티스토리 블로그에 ads.txt 연결하는 가장 쉬운 방법
- Cloudflare로 티스토리 광고 수익 최적화하기
- 티스토리 + 개인 도메인으로 Google AdSense 완벽 설정
- ads.txt 직접 연결해서 티스토리 수익화 성공한 후기
- 티스토리 블로그 수익화: 도메인 + Cloudflare + Workers 실전 가이드
1️⃣ ads.txt 연결이 필요한 이유
Google AdSense는 광고 투명성과 인증을 위해 사이트 루트에 ads.txt 파일을 요구합니다.
하지만 티스토리는 자체적으로 ads.txt를 설정할 수 없기 때문에 개인 도메인을 구매해 티스토리 블로그에 연결하고, Cloudflare Workers를 통해 ads.txt를 직접 응답하는 방식이 필요합니다.
⚠️ ads.txt 문제의 핵심
티스토리는 자체적으로 ads.txt 파일을 업로드할 수 없기 때문에, 외부 호스팅을 통해 파일을 노출시켜야 합니다.
🔹 무료 웹호스팅 서비스 이용 (닷홈, 000webhost 등) --- 시간낭비 실패 ㅠㅠ
![]() 💡 시행착오 : 닷홈 가입후 무료 호스팅 신청 과정에서 이메일 인증이 수차례 실패함 : 분명 복붙해서 여러 웹을 통해서 시도햇지만, 번번이 인증번호가 다르다는 메시지만 뜸 -- 수차례 시도후 포기함. |
🔹 Cloudflare 무료 플랜 활용 - - - 좀 복잡했지만, 초보자도 성공
|
🔍 왜 꼭 ca-pub(Google AdSense의 공식 퍼블리셔 ID 형식)여야 할까?✅ ca-의 의미: Content AdSense
![]() ✅ ads.txt는 웹사이트 광고 거래 인증용
✅ pub-만 쓰면 인증 실패
✅ ads.txt는 공식 광고 거래 인증 파일
💡 확인 팁 : ads.txt에는 반드시 아래처럼 작성해야 합니다. 저는 당초에는 "ca-"가 제외되 있었어요 ㅠㅠ![]() |
2️⃣ Cloudflare로 도메인 관리 시작하기
먼저, 도메인 등록 업체(예: 가비아, 닷홈 등)에서 개인 도메인(example.com) 을 구매합니다.
Cloudflare에 가입한 후, 가비아에서 구매한 도메인의 네임서버를 Cloudflare에서 제공한 값으로 변경했습니다.
Cloudflare 대시보드에서 도메인이 “활성화됨” 상태가 되면 DNS 레코드를 통해 티스토리 블로그와 연결합니다.
그 후, 네임서버를 Cloudflare로 변경해 Cloudflare 대시보드에서 도메인을 “활성화” 상태로 만듭니다.
이제 DNS 설정을 통해 티스토리 블로그와 연결하고 ads.txt를 직접 제어할 수 있는 준비가 완료됩니다.
3️⃣ Cloudflare Workers로 ads.txt 응답 만들기
Cloudflare의 Workers 기능을 사용하면 서버 없이도 JavaScript 코드를 실행해 특정 경로에 응답할 수 있습니다.
아래 코드를 사용하면 /ads.txt 경로에서 Google AdSense가 요구하는 텍스트를 반환할 수 있습니다:
export default {
async fetch(request) {
const url = new URL(request.url);
if (url.pathname === "/ads.txt") {
return new Response(
"google.com, ca-pub-xxxxxxxxxxxxxxxx, DIRECT, f08c47fec0942fa0",
{
headers: { "Content-Type": "text/plain" },
}
);
}
return new Response("Not Found", { status: 404 });
},
};
ca-pub-xxxxxxxxxxxxxxxx 부분은 본인의 Google AdSense 퍼블리셔 ID로 바꿔주세요.
Worker를 배포하면 your-worker-name.your-account.workers.dev 주소에서 ads.txt가 정상적으로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도메인 경로(Route) 설정으로 연결 마무리
Worker가 잘 작동하더라도 개인 도메인(example.com/ads.txt) 경로에 연결되지 않으면 Google은 ads.txt를 인식하지 못합니다.
Cloudflare 대시보드에서 Workers → 설정 → 도메인 및 경로 섹션으로 이동해 아래처럼 경로를 추가합니다:
- 도메인: example.com
- 경로: /ads.txt
- 연결할 Worker: 위에서 만든 Worker 선택
- 실패 모드: 실패 시 열림(Fail Open) 추천
설정을 저장하면 브라우저에서 https://example.com/ads.txt를 열었을 때 ads.txt 내용이 정확히 출력됩니다.
5️⃣ 마무리하며: 직접 연결한 보람
이 작업은 단순한 설정이 아니라 도메인, DNS, 티스토리, Cloudflare, JavaScript, 광고 코드까지 웹 인프라 전반을 배워가며 직접 설정하는 과정이었습니다.
중간에 오류도 많고 시행착오도 있었지만, 결국 원하는 결과를 얻었고 Google AdSense에서도 ads.txt를 정상적으로 인식하게 되었습니다.
이 글을 통해 다른 분들도 티스토리 블로그에 ads.txt를 좀더 쉽게 연결해 광고 수익을 안정적으로 받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여행이면돼지 🐷의 시사(실용)여행은 계속됩니다. 감사합니다.
'시사 여행이면 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재명정부 국민지원금 신청 방법 총정리 : 민생회복지원금 / 소비쿠폰, 안전하게 신청하고 피싱 사기 피하는 법까지! (14) | 2025.07.19 |
---|---|
러브버그 대량 출몰! 전혀 러블리하지 않은 해충의 정체와 대처법 (4) | 2025.06.28 |
이재명 대통령의 나토(NATO) 정상회의 불참 결정 : 국·내외적 시사점 및 경제·정치적 이득과 손실 분석 (2) | 2025.06.23 |